course 2021/Git

for Mac

코딩하는토끼 2021. 12. 4. 15:24

https://cloverlaun.tistory.com/4

 

[git] Mac에 git 설치 / 기본 명령어 정리

나는 버전관리 툴을 잘 쓸 줄 모른다. 업무때문에 SVN을 쓰긴 하지만, 소스 수정하기전에 update - 수정하고 파일 추가된거 있으면 add - 로그쓰고 commit. 위 3단계밖에 쓰지 않기때문에.. 버전관리 좀

cloverlaun.tistory.com

https://srcho.tistory.com/26

 

Mac 사용자를 위한 Git 간단 사용법

1. Git으로 형상관리 하기.  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(VCS, Version Control System)의 한 종류이다. 그렇다면 버전 관리는 어떤 것이고, 왜 필요한 것일까?  버전 관리란 프로그래밍을 할때 프로젝트 단위

srcho.tistory.com

https://zeddios.tistory.com/4

 

MAC사용자를 위한 Git 사용가이드

MAC을 사용하면서 얼마전에 Git을 처음 써보게 되었는데, 사용법만 알고나면 엄청 편리해요. Git에 내 소스코드를 올리는 방법은 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터미널로 하는 법을 작성하려고 합니다. 커

zeddios.tistory.com

 

* 맥에서 터미널을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 iterm2 를 설치하는게 좋음

 

< 터미널 >

> 원하는 폴더로 이동 (윈도우에서 특정 폴더에서 우클릭하여 git bash 실행하던 것과 같음)

cd (마우스로 해당 폴더 드래그하여 경로 입력하기)

> 폴더에 있는 파일 보기 

ls

> 상위 폴더로 가기

cd ..

> 원하는 폴더로 가기

cd bitnami(폴더명)

혹은 경로 

> 새 파일 생성

touch file_name.txt

> 파일 수정

cat file_name.txt
vim file_name.txt

(vim 은 text editor)

입력하면 이와 같은 창(vim)이 뜸↓

영문자 소문자 i 키 입력하면 INSERT 모드로 변경되며

여기에서 자유롭게 파일 수정

파일 수정 완료 후 INSERT 모드를 빠져나가 명령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esc 키 입력

명령모드에서는 모든 키가 명령으로 작용함

저장 후 나가기

:wq

저장하기

:w

인데 우리는 :wq 입력하여 저장하고 나감

 

> 파일 내용 보기

cat file_name.txt

> 파일 삭제하기

rm file_name.txt

 

> 파일 복사하기

cp (복사할 파일명) (복사된 파일명으로 설정할 이름)

 

 

* 명령어 작성 시 tip

1) 방향키 위 (∧) : 이전에 썼던 명령어 나옴

2) tab : 자동완성

 

** 터미널 실행 시 "프로세스 완료됨" 이라고 뜨고 명령어 작성 불가능한 상태!

→ 시스템 환경설정 - 사용자 및 그룹 - 자물쇠 풀기 - 사용자 우클릭 - 고급 옵션 - 로그인 셀 변경

(/bin/bash 로 변경하였음)

→ 혹은, finder 실행 - cmd+shift+g - /usr/bin 폴더로 이동하여 login 파일 삭제 (하라고 구글링 했을 때 나왔는데 삭제가 안돼서 포기하고 위 방법으로 해결했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