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파이프라인
[명령어1] | [명령어2]
앞 명령어의 결과 값을 뒤의 명령어로 필터링하거나 가공할 때 주로 사용한다
awk, cut, grep, more 등과 조합하여 많이 사용한다
리다이렉션

grep, tail, cat, cut, more
grep
지정한 문자열이나 정규표현식을 포함한 행을 출력한다
grep [옵션] [패턴] [파일]
- 옵션
-c : 일치하는 행의 수 출력
-i : 대소문자 구분 X
ex. grep -i error output.log
tail
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한다 (기본값 10줄)
tail [옵션] [파일]
- 옵션
-f : 종료하지 않고 실시간 업데이트 출력
-n : 라인 수 지정
ex. tail -f output.log | grep error
ex. tail -10000 output.log | grep error > check.txt
cat
concatenate 의 약자로, 본래 기능은 여러 파일 내용을 하나로 합쳐주는 것이지만,
파일 내용을 단순 출력하여 확인하거나 리다이렉션과 사용하여 파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
cat [옵션] [파일]
# file의 내용을 new_file이라는 파일로 저장
cat file > new_file
# file1+file2+file3 합친 내용을 new_file이라는 파일로 저장
cat file1 file2 file3 > new_file
# file2의 내용을 file1에 추가함
cat file2 >> file1
cut
파일이나 문자열을 잘라서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
cut [옵션] [파일]
- 옵션
-f : 필드 기준으로 자름
-c : 문자열 기준으로 자름
-d : 지정 문자를 구분자로 사용 (기본값 tab)
more
긴 파일을 한 페이지 씩 끊어서 보여준다
- more 실행 중 명령어
space bar, f : 다음 페이지
b : 이전 페이지
q : 종료
파일 · 디렉토리 권한 - ls, chmod
# 권한 확인하기
ls -al
# or alias
ll
# 권한 변경하기
chmod [권한] [파일/디렉토리]
# ex1. 모두에게 모든(읽기,쓰기,실행) 권한 부여
chmod a+rwx file.txt
chmod 777 file.txt
# ex2.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서 쓰기 권한 제거
chmod go-w file.txt
# ex3. 모두에게서 모든 권한 제거
chmod 000 file.txt
# 소유권 변경은 chown 명령어를 사용한다
사용자, 패스워드 - su, passwd
사용자 목록 확인하기
cut -f1 -d: /etc/passwd (아이디만)
cut /etc/passwd (전체)
다른 계정으로 전환하기
su [계정이름]
su root = su
패스워드 변경하기
passwd
sudo passwd [계정이름]
IP 확인하기 - ifconfig
ifconfig
ifconfig | grep inet
# public ip 확인하기
curl ifconfig.me
프로세스 확인하고 죽이기 - netstat, lsof, ps, kill
netstat
네트워크 연결 상태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상태 등을 보여주는 명령어
- 옵션
-n : 호스트명, 포트명을 lookup 하지 않고 그대로 IP, Port번호로 보여준다
-t : TCP 프로토콜만 보여준다
-u : DUP 프로토콜만 보여준다
-l : LISTEN 상태인 서비스 포트를 보여준다
-p :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PID(프로세스ID)를 보여준다
-r : 라우팅 테이블 출력
ex. netstat -ntlp | grep [port]
lsof
list open files 의 약자로, 시스템에서 프로세스가 열려있는 파일을 보는 명령어
- 옵션
-n : 호스트 이름 대신 IP 로 출력
-i : 특정 프로토콜과 포트 정보를 출력한다
ex. lsof -i TCP:8080
ex. lsof -n | grep LISTEN
ps
process status 의 줄임말, 시스템에서 작동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보는 명령어
- 옵션
-e :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
-f : full 포맷으로 정보를 출력 (PID PPID 등을 포함한다)
ex. ps -ef | grep [something]
kill
주로 프로세스를 죽일 때 사용
kill [옵션] [PID]
- 옵션
-9 (-KILL) : 강제 종료
-15 (-TERM) : 정상 종료 (디폴트값)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몬 daemon (0) | 2023.12.27 |
---|---|
ssh, scp (1) | 2023.12.27 |
vi, vim (0) | 2023.12.13 |
DBMS - RDBMS, NoSQL (0) | 2023.11.03 |
Build Tool - Maven, Gradle (0) | 2023.10.28 |

파이프라인
[명령어1] | [명령어2]
앞 명령어의 결과 값을 뒤의 명령어로 필터링하거나 가공할 때 주로 사용한다
awk, cut, grep, more 등과 조합하여 많이 사용한다
리다이렉션

grep, tail, cat, cut, more
grep
지정한 문자열이나 정규표현식을 포함한 행을 출력한다
grep [옵션] [패턴] [파일]
- 옵션
-c : 일치하는 행의 수 출력
-i : 대소문자 구분 X
ex. grep -i error output.log
tail
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한다 (기본값 10줄)
tail [옵션] [파일]
- 옵션
-f : 종료하지 않고 실시간 업데이트 출력
-n : 라인 수 지정
ex. tail -f output.log | grep error
ex. tail -10000 output.log | grep error > check.txt
cat
concatenate 의 약자로, 본래 기능은 여러 파일 내용을 하나로 합쳐주는 것이지만,
파일 내용을 단순 출력하여 확인하거나 리다이렉션과 사용하여 파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
cat [옵션] [파일]
# file의 내용을 new_file이라는 파일로 저장
cat file > new_file
# file1+file2+file3 합친 내용을 new_file이라는 파일로 저장
cat file1 file2 file3 > new_file
# file2의 내용을 file1에 추가함
cat file2 >> file1
cut
파일이나 문자열을 잘라서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
cut [옵션] [파일]
- 옵션
-f : 필드 기준으로 자름
-c : 문자열 기준으로 자름
-d : 지정 문자를 구분자로 사용 (기본값 tab)
more
긴 파일을 한 페이지 씩 끊어서 보여준다
- more 실행 중 명령어
space bar, f : 다음 페이지
b : 이전 페이지
q : 종료
파일 · 디렉토리 권한 - ls, chmod
# 권한 확인하기
ls -al
# or alias
ll
# 권한 변경하기
chmod [권한] [파일/디렉토리]
# ex1. 모두에게 모든(읽기,쓰기,실행) 권한 부여
chmod a+rwx file.txt
chmod 777 file.txt
# ex2.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서 쓰기 권한 제거
chmod go-w file.txt
# ex3. 모두에게서 모든 권한 제거
chmod 000 file.txt
# 소유권 변경은 chown 명령어를 사용한다
사용자, 패스워드 - su, passwd
사용자 목록 확인하기
cut -f1 -d: /etc/passwd (아이디만)
cut /etc/passwd (전체)
다른 계정으로 전환하기
su [계정이름]
su root = su
패스워드 변경하기
passwd
sudo passwd [계정이름]
IP 확인하기 - ifconfig
ifconfig
ifconfig | grep inet
# public ip 확인하기
curl ifconfig.me
프로세스 확인하고 죽이기 - netstat, lsof, ps, kill
netstat
네트워크 연결 상태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상태 등을 보여주는 명령어
- 옵션
-n : 호스트명, 포트명을 lookup 하지 않고 그대로 IP, Port번호로 보여준다
-t : TCP 프로토콜만 보여준다
-u : DUP 프로토콜만 보여준다
-l : LISTEN 상태인 서비스 포트를 보여준다
-p :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PID(프로세스ID)를 보여준다
-r : 라우팅 테이블 출력
ex. netstat -ntlp | grep [port]
lsof
list open files 의 약자로, 시스템에서 프로세스가 열려있는 파일을 보는 명령어
- 옵션
-n : 호스트 이름 대신 IP 로 출력
-i : 특정 프로토콜과 포트 정보를 출력한다
ex. lsof -i TCP:8080
ex. lsof -n | grep LISTEN
ps
process status 의 줄임말, 시스템에서 작동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보는 명령어
- 옵션
-e :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
-f : full 포맷으로 정보를 출력 (PID PPID 등을 포함한다)
ex. ps -ef | grep [something]
kill
주로 프로세스를 죽일 때 사용
kill [옵션] [PID]
- 옵션
-9 (-KILL) : 강제 종료
-15 (-TERM) : 정상 종료 (디폴트값)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몬 daemon (0) | 2023.12.27 |
---|---|
ssh, scp (1) | 2023.12.27 |
vi, vim (0) | 2023.12.13 |
DBMS - RDBMS, NoSQL (0) | 2023.11.03 |
Build Tool - Maven, Gradle (0) | 2023.10.28 |